•
영리함 씨의 사례를 예로 들어 어떤 문제인가에 대해서 알아보자.
•
4개의 기업이, 11개의 제품을 각각에 대한 금액 제시를 통해 원하고자 하는 아이템을 가져가고자 한다.
•
각 기업은 11개 제품에 모두 입찰을 제시해야 한다.
•
기업들은 각 제품에 대한 입찰금액을 제시했고 마감되기까지 24시간 남은 시점에서 정부측 직원이 임원들에게 금액을 지불하면 비공개 입찰의 전체 내역을 확인하고 금액을 변경할 기회를 주겠다고 했다.
•
임원들은 당연히 돈을 지불하고 다른 입찰 가격들을 확인해보았다. 그러나 규칙이 너무 복잡해서 짐작이 되지 않아 결국 컴퓨팅 서비스 업체에 도움을 요청했다.
•
이 문제는 곧 영리함 씨에게 전달되었고 영리함 씨는 문제를 천천히 살펴보았다. 임원은 영리함 씨에게 4,000,000가지의 모든 입찰 조합을 생성한 후, 비용 순서대로 정렬하는 계획을 제안했다.
•
그리고 임원은 회사가 필요로 하는 자산을 획득하는 조합이면서 비용이 최소가 되는 값을 찾으려할 것이다.
•
하지만 영리함 씨는 이 방법이 미숙하다고 생각했다. 영리함 씨는 정부의 규칙에 대한 정보가 약간만 있다면 계산 작업을 1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.
•
임원은 이런 정보를 제공하기 꺼려했고 일단 임원의 계획대로 프로그래머 팀이 작업을 진행하고 영리함 씨만 임원과 세부 규칙을 검토하기로 했다.
•
영리함 씨는 세부규칙을 듣고 빠르게 문제를 해결해내었다. 그리고 그는 이것이 해결안이라는 것을 임원들에게 확신시키기 위해 시간을 소모했을 것이다. 이는 영리함 씨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을 남겼다.
◦
문제 정의를 위해 문제를 제시한 쪽의 방법을 선택하지 마라.
◦
만약 문제를 너무 쉽게 해결한다면, 문제를 제시한 사람들은 결코 당신이 진짜 문제를 해결했다고 믿지 않을 것이다.